Tiny Forest

'터치'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8.10.07 MP4 파일에 Soft 자막을 삽입하기 v0.3.2 - iTouch/iPhone
클리앙 : 김민수님의 글. : http://clien.career.co.kr/zboard/view.php?id=lecture&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C0%DA%B8%B7&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229



안녕하세요? ^^

간만에 이 사이트를 다시 방문해 봅니다.

1. 본 프로그램은 인코딩용 소프트웨어가 아닙니다.
2. 이미 인코딩된 MP4 파일의 트랙을 수정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3. 부가 기능으로 SMI 또는 SRT 형태의 자막을 넣을 수 있습니다.

[SOFT-SUBTITLE]
간단하게, 일반 컴퓨터에서는 주로 동영상과 자막을 따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플레이 할때, 플레이어서 실시간으로 자막을 보여주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을 SOFT SUBTITLE 이라하구요.
반대말로, HARD SUBTITLE이 있으며, 이것은 동영상에 자막을 입혀서 인코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사실 개인적으로는 직업 인코딩 하기 보다는 자막을 별도로 관리하는 것이 편하다 보니,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iPhone/Touch는 1.1.3 이후부터 자체적으로 자막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단지, 일반 인코더에서 해당 자막을 지원하지 않고 있을 뿐입니다. 본 프로그램을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MP4 파일을 약간 손봐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참고 : iPhone/Touch의 화면 크기 제약이 640x480 입니다만, 경험적으로 화소수만 적으면 크기는 약간 커져서 16:9 정도로 인코딩 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트랙 편집은 MP4BOX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링크에서 다운하시고, 설치를 하시면 됩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첨부된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MP4 파일을 드래그 해서 창에 놓으면 파일이 읽어지게 됩니다.

동일 이름의 *.SRT/*.SMI 자막이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해당 자막은 자동으로 입력이 되며, 자막을 변경하고 싶다면, 자막 이름을 클릭하면 됩니다.

[] File format will be ....
*** MP4 파일을 iPod/iPhone에 맞게 최적화 시켜 줍니다.
[] Tag will be .....
*** MP4 파일에 첨부된 표준 자막은 일반 동영상 플레이어에서는 인식하지만, iPod/iPhone에서는 인식하지 않습니다. 파일을 수정해서 iPod/iPhone에서 인식하도록 만들어 줍니다. 이 경우에 일반 플레이어에서는 인식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화면에 직접 인코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막은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서, 새로 바꿀수 있습니다.

자막이 입혀진 동영상을 itunes 를 이용해서 iphone/itouch에 동기화 시키시면 되구요, 플레이할때, 동영상 제어창을 보시면, 자막 아이콘이 나타날 겁니다. 자막 아이콘을 클릭하고, Korean 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인 인코딩 추천방법
(1) H264 또는 XVID 등은 화면은 그냥 그대로 COPY 모드로 넘기고, 음성만 인코딩을 하여, MP4 파일을 만듭니다.
(2) 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막을 추가합니다.

제약 :
(1) 아직은 한개의 자막만 넣을 수 있습니다.
(2) 자막의 언어와 상관 없이, 무조건 메뉴에 Korean 으로 표시됩니다.
(3) 간혹 읽지 못하는 SMI/SRT 파일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사족 :
사실 개인적으로 필요해서 몇일 사이에 뚝딱 대충 필요한 것만 만들어서, 사용하는 분이 과연 계실까? 하는 의문이 들지만 그래도 올려봅니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 하루 되세요....

한번더 사족.. ^^

iPhone 1.1.4 펌웨어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업데이트 - 2008/08/13]

별로 달라진것은 없습니다.

원래 배치 버전을 GUI로 새로 만들어 봤습니다.

[1] 첫번째 비데오 트랙
[2] 첫번째 오디오 트랙
[3] *.SRT > *.SMI > 내장 TEXT 트랙

이렇게 3가지 트랙으로 자동 조합합니다.
따라서, *.MP4 파일과 *.SMI 또는 *.SRT 파일이 같은 폴더에 있으면
자동으로 쭈우욱 입력 됩니다.

다시 말씀 드리면,

    동영상에 자체 자막을 넣는 경우에 이 프로그램은 전혀 필요없고,
    기존 인코더를 이용해서 넣으시면 됩니다.

단지,

    인코딩 없어 container 만 바꿔서 자막을 빠르게 넣고 싶어하거나
    자막을 별도로 관리하고 싶어하거나
    하는 분들에게만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향후, 없데이트는 없구요..

혹시 긴긴밤 또 잠이 오지 않으면,
AVI(XVID/X264+MP3/AAC) 파일에서 컨테이너를
수정하는 부분까지 배치로 넘기는 코드를 삽입해 볼까합니다. ^^

소스 코드는 VisualBASIC.NET 로 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메일 주시면, 코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업데이트 - 2008/08/17]

변경된 내용은, AVI 파일중에 DVIX (DVIX, DX50), XVID 형식을 인식하도록 해봤습니다. 사실, 이들 파일들은 MPEG-4 표준 규격이고 현재 인터넷 등을 통해서 배포되고 있는 파일들 중에 대다수 인것 같습니다.

해당 AVI 파일들의 경우에 음성이 MP3 또는 AC 인 경우가 많습니다. 음성 스트림을 AAC 형태로 변환하고 동영상은 그대로 포맷을 유지한채로 그냥 MP4로 변환을 시켜서 자막을 넣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영상 인코딩 까지 넣으면...
더 이상 이 프로그램의 얼굴이 이상해지는 것 같아서 그냥 말았습니다.

위에 기능도 하다 보니..
대부분이 AVI 파일을 가지고 있어서...
약간의 수고(?)를 덜어주고자 넣은 기능이며,

사실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업데이트 - 2008/08/17]

별 수정 내용은 없습니다. 단지, 아래 MP4 파일이 파싱이 않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아서, 비표준 규격의 헤더는 그냥 건너 뛰도록 했습니다.

[업데이트 - 2008/08/26]

어제, 대만에서 어떤 분에게 에러 리포트를 받았는데, UTF8 포맷을 지정했는데 제대로 표시가 않된다구 해서 봤더니, 윈도우즈에서 UTF-8 포맷에는 초기에 Signature 바이트가 있는데, 일반 프로그램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한번더 인코딩 되어서 문제가 되었던 것인데...
UTF8 인코딩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추가 코드를 삽입했습니다.
Posted by Hyeontaek , Lim